Web (2) 썸네일형 리스트형 쿠키와 세션의 차이 웹에서 사용자 인증에 주로 사용되는 쿠키와 세션의 차이를 비교하는 글이다. HTTP 쿠키(웹 쿠키, 브라우저 쿠키)는 서버가 사용자의 웹 브라우저에 전송하는 작은 데이터 조각이다. 브라우저는 그 데이터 조각들을 저장해 놓았다가, 동일한 서버에 재 요청 시 저장된 데이터를 함께 전송한다. 쿠키란? 쿠키는 클라이언트(브라우저) 로컬에 저장되는 키와 값이 들어있는 작은 데이터 파일 사용자 인증이 유효한 시간을 명시할 수 있으며, 유효 시간이 정해지면 브라우저가 종료되어도 인증이 유지된다는 특징 쿠키는 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를 로컬에 저장했다가 참조 클라이언트에 300개까지 쿠키저장 가능, 하나의 도메인당 20개의 값만 가질 수 있음, 하나의 쿠키값은 4KB까지 저장 Response Header에 Set-Coo.. 스프링부트 AWS에 배포 실습 후기 책 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서비스 (이동욱 저)를 실습하고 수정된 부분과 후기를 적어보려 한다. 코드 타이핑 후기를 적는게 아니라 실수한거나 변경된 점들을 적는 것이니 오해없길 바란다. Travis CI UI가 달라져서 헷갈렸는데 매칭되는 부분을 잘 읽어봐야 한다. 그리고 Organization은 유료로만 적용이 가능한가보다. 그래서 개인용으로 부랴부랴 옮겼다. .travis.yml 파일을 정의해야 하는데, 보안상 중요한 키 값은 설정에서 환경변수로 정의할 수 있다. 각 동작을 정의할 수 있는데, 언어, 브랜치, 배포 등등의 행동을 정의하여 원하는 동작을 수행시키면 된다. 그리고 메일로 알림이 오도록 했는데, 처음 한 두번은 오더니 그 이후부턴 안온다. 타이핑 오류가 발생하면 에러로그가 디..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