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에서 사용자 인증에 주로 사용되는 쿠키와 세션의 차이를 비교하는 글이다.
HTTP 쿠키(웹 쿠키, 브라우저 쿠키)는 서버가 사용자의 웹 브라우저에 전송하는 작은 데이터 조각이다.
브라우저는 그 데이터 조각들을 저장해 놓았다가, 동일한 서버에 재 요청 시 저장된 데이터를 함께 전송한다.
쿠키란?
- 쿠키는 클라이언트(브라우저) 로컬에 저장되는 키와 값이 들어있는 작은 데이터 파일
- 사용자 인증이 유효한 시간을 명시할 수 있으며, 유효 시간이 정해지면 브라우저가 종료되어도 인증이 유지된다는 특징
- 쿠키는 클라이언트의 상태 정보를 로컬에 저장했다가 참조
- 클라이언트에 300개까지 쿠키저장 가능, 하나의 도메인당 20개의 값만 가질 수 있음, 하나의 쿠키값은 4KB까지 저장
- Response Header에 Set-Cookie 속성을 사용하면 클라이언트에 쿠키를 만들 수 있음
- 쿠키는 사용자가 따로 요청하지 않아도 브라우저가 Request시에 Request Header를 넣어서 자동으로 서버에 전송
쿠키의 동작 방식
- 클라이언트가 페이지를 요청
- 서버에서 쿠키를 생성
- HTTP 헤더에 쿠키를 포함 시켜 응답
- 브라우저가 종료되어도 쿠키 만료 기간이 있다면 클라이언트에서 보관하고 있음
- 같은 요청을 할 경우 HTTP 헤더에 쿠키를 함께 보냄
- 서버에서 쿠키를 읽어 이전 상태 정보를 변경 할 필요가 있을 때 쿠키를 업데이트 하여 변경된 쿠키를 HTTP 헤더에 포함시켜 응답
쿠키 단점
- 클라이언트에 저장되기 때문에 탈취의 위험이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없음.
- 쿠키 값 변조의 위험이 있음. (최근 브라우저에 http-only라는 쓰기를 막는 옵션이 추가되어 막힘)
이러한 쿠키의 단점은 결국 클라이언트에서 관리하는게 원인이기 때문에 세션이라는 개념이 등장.
세션이란?
- 세션은 쿠키를 기반하고 있지만, 사용자 정보 파일을 브라우저에 저장하는 쿠키와 달리 세션은 서버 측에서 관리
- 서버에서는 클라이언트를 구분하기 위해 세션 ID를 부여하며 웹 브라우저가 서버에 접속해서 브라우저를 종료할 때까지 인증상태를 유지
- 물론 접속 시간에 제한을 두어 일정 시간 응답이 없다면 정보가 유지되지 않게 설정이 가능
-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서버에 두기 때문에 쿠키보다 보안에 좋지만, 사용자가 많아질수록 서버 메모리를 많이 차지
- 즉 동접자 수가 많은 웹 사이트인 경우 서버에 과부하를 주게 되므로 성능 저하의 요인이 됨
- 클라이언트가 Request를 보내면, 해당 서버의 엔진이 클라이언트에게 유일한 ID를 부여하는 데 이것이 세션 ID
세션의 동작 방식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속 시 세션 ID를 발급 받음
- 클라이언트는 세션 ID에 대해 쿠키를 사용해서 저장하고 가지고 있음
- 클라리언트는 서버에 요청할 때, 이 쿠키의 세션 ID를 같이 서버에 전달해서 요청
- 서버는 세션 ID를 전달 받아서 별다른 작업없이 세션 ID로 세션에 있는 클라언트 정보를 가져와서 사용
- 클라이언트 정보를 가지고 서버 요청을 처리하여 클라이언트에게 응답
세션 단점
- 서버에 세션 정보를 저장하기 때문에 사용자 수에 비례하여 메모리 소모가 늘어남.
- 세션 저장소에서 검색에 필요한 속도가 요구됨
- 사용자 인증마다 세션을 생성해야 함 (세션을 생성하는건 대체로 서버에 부담을 준다.)
최근에는 쿠키와 세션의 단점을 보완한 토큰 기반의 인증방식인 JSON Web Token 방식을 주로 쓰는 추세이다.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링부트 AWS에 배포 실습 후기 (0) | 2022.01.10 |
---|